플래티어 연구소 테크 블로그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479)
        • Ai Word 사전 (0)
        • A.I.(인공지능) & M.L.(머신러닝) (96)
          • Development Environments (9)
          • A.I. Information (14)
          • Python (6)
          • transformers (13)
          • 머신러닝 (1)
          • 딥러닝 (4)
          • 신경망 이론 (5)
          • LLM (33)
          • Agent (4)
        • DevOps와 Infra (65)
          • DevOps 일반 (23)
          • Docker Container (3)
          • Linux (2)
          • AWS EKS (16)
          • AWS (6)
          • Kubernetes On Premise (13)
          • Security (1)
          • IDC 서버 (1)
        • 검색엔진 (8)
          • Elasticsearch (5)
          • Opensearch (3)
        • 빅데이터 (31)
          • Mongo DB (4)
          • Apache Nifi (21)
          • Scala (4)
          • Apache Spark (2)
        • 네트워크 (2)
          • SSL (2)
        • Quality Assurance (3)
          • E2E Test (3)
        • Backend(Framework) (42)
          • Java (2)
          • Spring (1)
          • Spring Boot Batch (3)
          • NestJS (9)
          • NestJS 개요(공식문서 번역) (20)
          • Cache (3)
          • Rust (4)
          • Go (0)
        • Frontend (Next.js Tailwind .. (52)
          • Frameworks (6)
          • Next.js (30)
          • Typescript (1)
          • Tailwind CSS (9)
          • React.js (4)
        • Next.js 개발 가이드 (42)
          • 01. Set up (7)
          • 02. 코딩 가이드 및 필수 패키지 (9)
          • 03. 퍼블 가이드 (3)
          • 04. Data fetching (2)
          • 05. State management (3)
          • 06. Learn Next.js 공식 가이드 (18)
        • Nuxt 공식문서 번역 (96)
          • 개요 (15)
          • Directories (23)
          • Components (12)
          • Composables (21)
          • Utils (25)
        • Nuxt 개발 가이드 (13)
          • 01. Set up (9)
          • 02. 코딩 가이드 및 필수 패키지 (0)
          • 03. 퍼블 가이드 (0)
          • 04. Data fetching (3)
          • 05. State management (1)
        • Tech 공유 세미나 - 2차 (13)
        • 기타 (15)
          • IT기타 (7)
          • story (5)
          • 문정역 여기어때 (2)
    DevOps와 Infra/Docker Container

    SvelteKit(hello world)를 Docker Container로 띄우기

    Create appmkdir sveltekit-hello-worldnpx sv create .으로 hello-world를 생성한다. 옵션에는 pnpm으로 설치하게 선택하였다. .dockerignore 생성→ 다 때려 넣어준다Dockerfile.git.gitignore.gitattributesREADME.md.npmrc.prettierrc.eslintrc.cjs.graphqlrc.editorconfig.svelte-kit.vscodenode_modulesnpm-debug.logbuildpackage.env* !.env.*.set마지막 줄은 있다가 사용할 것이라 예외 처리 dependency 설치pnpm add @sveltejs/adapter-node --save-dev svelete.config.js fi..

    2025. 3. 26. 17:04 / Tech김백엔드
    DevOps와 Infra/Docker Container

    Golang(hello world)을 Docker Container로 띄우기

    Go 코딩비어있는 아무 이름의 폴더에서 시작한다.Gin은 Go로 짜여진 HTTP web framework으로 아주 빠르고, 사용하기 쉽다.Gin을 이용해 우선 hello world를 짜보자.Go를 처음 사용하는 맥북 사용자는 처음에 Go 모듈이 disable 되어있을 것이다.다음과 같이 enable로 바꾼다.echo 'export GO111MODULE=auto' >> ~/.zshrcsource ~/.zshrc초기화go mod init containerized-go-app→ go.mod 가 자동 생성된다.Gin을 가져온다.go get -u github.com/gin-gonic/ginmain.go를 작성한다.package mainimport ( "github.com/gin-gonic/gin")func ..

    2025. 3. 24. 14:53 / Tech김백엔드
    DevOps와 Infra/DevOps 일반

    Grafana에서 Alert 생성 (2) - 설치 및 설정

    Installation우선은 이미 다운로드 받아 둔 Istio를 쓰기 때문에 Istio 설치 폴더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cd istio-1.24.1/samples/addonskubectl apply -f . 위 폴더에 들어가면 kiali, jaeger, loki, prometheus, grafana 설치 파일들이 있다.설치를 해보았지만 버전은 최신이지만, 폴더명 samples처럼 말 그대로 가볍게 테스트해보는 용도의 설치 파일이었다.Default로 설정된 dashboard들도 별로 없다. 그래서 helm chart로 설치하는 것이 낫다.Add helm charthelm repo add prometheus-community https://prometheus-community.github.io/he..

    2025. 2. 28. 16:55 / Tech김백엔드
    DevOps와 Infra/DevOps 일반

    Grafana에서 Alert 생성 (1) - MS Teams

    Grafana에서 Alert rule을 설정해주기 전에 우선 팀즈에서 작업을 해주어야한다.Microsoft Teams1. 새 팀 만들기우선은 MS Teams에서 새 채널을 만들어야하고그 전에 새 팀을 만들어야한다. 새 팀을 누르고, 팀 이름을 입력하면2. 채널 만들기아래 그림처럼 "첫 번째 채널 이름 지정"에 이름을 적어주면팀즈에 채널이 생성된다. 3. Incoming Webhook 설치팀즈 좌측 앱 메뉴에서 Incoming Webhook을 설치한다.공식문서 참조: https://learn.microsoft.com/ko-kr/azure/data-factory/how-to-send-notifications-to-teams?tabs=data-factory 4. Webhook URL 생성하기알람이 뜰 채널을 ..

    2025. 2. 26. 16:23 / Tech김백엔드
    DevOps와 Infra/DevOps 일반

    GitLab 에서 merge request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Tech뿌롱이 입니다.오늘은 merge request  하는 방법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본인의 feature branch 를 만듭니다. 저는 feature/sat 란 branch 를 이용해 볼게요. 1. 먼저 merge request  하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New Merge request 버튼 클릭하고 아래 그림처럼 셋팅을 하고 Compare branches and continue 를 누릅니다.3. 필요한 정보를 기입하고 create merge request 클릭 4. 다음 페이지에서 중간에 이렇게 초록불이 들어와 있으면 Merge 가능합니다. 5. Merge 버튼 누르면 작업 끝!!! 행복한 개발 라이프 즐기세요!

    2025. 2. 21. 19:19 / Tech뿌롱이
    DevOps와 Infra/DevOps 일반

    Atlassian Bamboo란?

    Atlassian Bamboo라는 제품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Bamboo공식문서: https://confluence.atlassian.com/bamboo/install-a-bamboo-data-center-trial-1155494322.htmlBamboo Server (deprecated 24년2월) → Bamboo Data Center로 대체되었다. (이름이 바뀌었다고 self-hosting 버전이 Jira나 Confluence처럼 Cloud 버전으로 바뀐 것은 아니고, 여전히 설치형이지만 고가용성(multi-node 지원)을 지원하고 보안상 업그레이드가 되었다고 보면 된다.)Bamboo는 Jenkins과 같은 도구라고 보면 된다.개인적인 생각 : IDE에 비유를 들자면, Jenkins..

    2025. 2. 18. 19:56 / Tech김백엔드
    • «
    • 1
    • 2
    • 3
    • 4
    • 5
    • 6
    • ···
    • 11
    • »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테크팀 개인 블로그

    정지민
    jeong
    손성준
    son
    김해수
    sunwater
    이다운
    koala
    채희철
    bburongE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479)
      • Ai Word 사전 (0)
      • A.I.(인공지능) & M.L.(머신러닝) (96)
        • Development Environments (9)
        • A.I. Information (14)
        • Python (6)
        • transformers (13)
        • 머신러닝 (1)
        • 딥러닝 (4)
        • 신경망 이론 (5)
        • LLM (33)
        • Agent (4)
      • DevOps와 Infra (65)
        • DevOps 일반 (23)
        • Docker Container (3)
        • Linux (2)
        • AWS EKS (16)
        • AWS (6)
        • Kubernetes On Premise (13)
        • Security (1)
        • IDC 서버 (1)
      • 검색엔진 (8)
        • Elasticsearch (5)
        • Opensearch (3)
      • 빅데이터 (31)
        • Mongo DB (4)
        • Apache Nifi (21)
        • Scala (4)
        • Apache Spark (2)
      • 네트워크 (2)
        • SSL (2)
      • Quality Assurance (3)
        • E2E Test (3)
      • Backend(Framework) (42)
        • Java (2)
        • Spring (1)
        • Spring Boot Batch (3)
        • NestJS (9)
        • NestJS 개요(공식문서 번역) (20)
        • Cache (3)
        • Rust (4)
        • Go (0)
      • Frontend (Next.js Tailwind .. (52)
        • Frameworks (6)
        • Next.js (30)
        • Typescript (1)
        • Tailwind CSS (9)
        • React.js (4)
      • Next.js 개발 가이드 (42)
        • 01. Set up (7)
        • 02. 코딩 가이드 및 필수 패키지 (9)
        • 03. 퍼블 가이드 (3)
        • 04. Data fetching (2)
        • 05. State management (3)
        • 06. Learn Next.js 공식 가이드 (18)
      • Nuxt 공식문서 번역 (96)
        • 개요 (15)
        • Directories (23)
        • Components (12)
        • Composables (21)
        • Utils (25)
      • Nuxt 개발 가이드 (13)
        • 01. Set up (9)
        • 02. 코딩 가이드 및 필수 패키지 (0)
        • 03. 퍼블 가이드 (0)
        • 04. Data fetching (3)
        • 05. State management (1)
      • Tech 공유 세미나 - 2차 (13)
      • 기타 (15)
        • IT기타 (7)
        • story (5)
        • 문정역 여기어때 (2)

    블로그 인기글

    태그

    • #venv
    • #deepseek
    • #셀레니움
    • #플래티어
    • #이벤트리스너
    • #ElasticSearch
    • #finetuning
    • #fine-tuning
    • #문제해결
    • #nifi
    • #React
    • #AWS EKS
    • #아파치
    • #apach
    • #Lora
    • #검색엔진
    • #딥러닝
    • #Spring Boot Batch
    • #adapter_model.bin
    • #nextjs
    • #Ai
    • #LLM
    • #Langchain
    • #langgraph
    • #파이썬
    • #HuggingFace
    • #나이파이
    • #pyTorch
    • #python
    • #GPU
    MORE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플래티어 연구소 테크 블로그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